안녕하세요.
오랜기간 한글편집자로 살면서 얻은 팁들을 공유하고자 글을 씁니다.
일단 모공에 썼던 글과 질답을 먼저 올리는것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는 처음엔 민간기업대상으로 시작해서, 1472/훈민정음/아리랑/아래한글/워드/페이지메이커/쿼크/인디자인 등을 사용해왔으며,
(원고를 주시는분이 소스그대로 편집해주길 원해서 거의 모든 워드프로세서를 다 다뤄봤습니다(하나워드/보석글까지))
최근 10여년 이상은 관공서 및 공공기관 업체에 근무하므로 대부분 아래한글 작업을 하며, 가끔 인디자인을 사용합니다.
요즘엔 특히 연구/실적보고서 같은 책자 나 백서 등을 많이 작업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공기관이나 관공서에 근무하시는 분이나 납품해야 하시는분에게 더 유용하리라 생각합니다.
한글은 훌륭한 프로그램이며, 워드프로세서의 범주에서 이를 넘어서가나 대체할 제품은 없습니다.
워드같은것으로 하라고 하면 차라리 인디자인을 쓰겠습니다.
자간, 행간, 단어간격, 장평의 이해도가 없다면 한글의 장점을 모를것입니다.
한글문서는 이게 필요하며, 워드는 저것이 제대로 되지를 않습니다.
워드는 그냥 소설쓰거나, 일기쓰거나, 간단한 텍스트위주의 보고서나 레포트정도 쓸 때나 쓰면 스트레스 없이 사용가능하나 그이상 생각하시면 스트레스만 받습니다.
--------------------------------------------------------------
먼저 올리는 내용은 모공에 올린. 한글로 작성하실때 주의하실점입니다.
주로 서체에 관한 이야기가 많을겁니다. 인디자인도 마찬가지지만 에러의 대부분이 서체때문이 많거든요
----------------------------------------------
1. 휴먼 엑스포서체 쓰지마세요(한글의 문제가 아니라 PDF만든후 상당수 출력기에서(마스터나, 필름)서 에러 뻗습니다.
저는 이걸로 작성해오면 비슷한 느낌의 HY울릉도M체로 전환합니다.(근데 공무원들 엑스포체 겁나 많이 씁니다)
2. 아에 휴먼체를 봉인하시기바랍니다.(대안서체고 많고, 이서체에 에러 많습니다(휴먼 모음T 등)- PTT에서 PDF로 저장해도 깨집니다.
- 1,2번 서체는 프린트 하실때는 이상없습니다. PDF로 작성하거나, PDF를 인쇄기로 보내면 생기는 문제입니다 -
3. 서체이름에 HF라고 써있는 한글전용폰트(HTF)를 이젠 버려주세요 #붙은거, 그냥 명조, 고딕,신명조라고 써있는거, 등등 말입니다.
이건 오래전 도스시절 유물이며, 그때 문서 호환을 위해서 있는겁니다. 비트맵 글꼴도 있구요(고딕/명조)...
물론 장점도 있죠 조합형 글꼴도 있으며 2번에서 당부한 휴먼명조등에서 따음표가 한글과 떨어지는 문제도 없습니다. 그래서 사용도 많이 했는데, 지금은 TTF나, OTF에서 그문제 해결된 폰트 많습니다.
휴면명조가 표준이였는데, 한글전용폰트였을때나 좋았지 지금은 안좋습니다, 가독성도 별로입니다.
명조나 고딕의 기본서체는 KOPUB를 추천합니다( https://www.kogl.or.kr/static/freefontevent/freeFontEvent.html )
4. 만약 서체가(서체확인방법: 파일-문서정보-글꼴정보)TTF나 OTF가아닌 HTF(한글전용폰트)가 있다면 아도브 아크로벳으로 PDF만들면 안됩니다. 시간도 엄청 걸리고 그 서체들의 외각선이 매끄럽지 못합니다(비트맵폰트처럼보임)
한글 2010이하는 한컴 PDF컨버터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그 이상은(2010도 업데이트하면 자체 PDF작성기능이생깁니다)
한글설치할때 생기는 HANCOM PDF로 만들거나 파일메뉴에 있는 PDF로 저장하기 기능으로 만드심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의 문제가 규격사이즈가 아니면 사이즈지정이 불가하므로 크기가 안맞습니다,-A4로 만드셔서 아크로벳에서 자르시는 방법도 있지만 말이죠)
5. 참고로 한글에 있는 폰트 정품이라도, 휴먼, hy, 양재 폰트는 한컴으로 작성할때만 라이센스가 허락된겁니다.
다른 용도로 쓰거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작성해서 인터넷에 올리는 순간, 폰트사냥법인들의 내용증명을 받게될것입니다
정품서체 없으시면 공공누리 검색하셔서, 거기에 있는 폰트만 사용하세요.
https://www.kogl.or.kr/static/freefontevent/freeFontEvent.html
6. 한글 자동저장은 아주 길게하시고, 한페이지 작성 후 수동저장하시는 방법을 권해드립니다.(자동저장이 너무 시간이 걸려요)
7. 디카나 폰카가 좋아지면서, 사진의 화질이 좋은데 2천만화소 이런것을 단 몇센치로 줄여서 원본화질 그대로 넣는 분이 계십니다.
파일용량이 계속 늘어나고, 메모리를 더 잡아먹어서 느려지며, 점점 저장하는데 시간이 더 걸립니다(여기에 자동저장까지 짧게 하셨다면^^;) 포토샵등에서 미리 줄여주시던가 한글기능에 있는 그림줄이기(그림을 선택하면 리본메뉴에 뜹니다)선택하셔서 줄여주세요.
'일상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신형 올체인지 아이패드 미니 발표/가격 (0) | 2021.09.15 |
---|---|
만 65세이상 노인 요금 작은 팁(12100원할인) (0) | 2021.09.14 |
아이폰 배경화면 사이즈 만들기 방법 한번에 정리 (0) | 2021.09.08 |
9.1~9.14 지마켓 옥션 한가위 빅세일 (0) | 2021.09.01 |
우주패스all, 우주패스mini 간단정리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