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출처 | https://www.anandtech.com/show/14605/the-and-ryzen-3700x-3900x-review-raising-the-bar/6
아난드텍 측의 이번 싱글스레드 성능 비교는 SPEC 벤치마크를 기준으로 합니다. SPEC 벤치마크는 인텔이든 AMD든
공식적으로 IPC 발표에 자주 이용하는 벤치마크로, 이 바닥에선 린팩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명세가 높습니다.
다만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서 거대한 장벽이 하나 있는데 이 프로그램의 라이센스비용이 엄청나다는 것입니다.
제가 아는 바론 최소 1000달러 이상이며, 이미 구버전을 가진 사용자들이 업그레이드버전으로 구매해도 최하 500달러가 넘습니다. 아주 비싸죠.
( https://gigglehd.com/gg/soft/1280160 -댓글 참조- )
일단 제가 아는 선에서, 유명 리뷰 사이트 중에 IPC 비교를 위해 SPEC을 쓰는 사이트는 아난드텍이 거의 유일하다시피합니다.
하여튼 SPEC2006이랑 SPEC2017 기준으로 IPC를 비교했던데, 결과만 대충 보시죠.
2006버전의 토탈 스코어입니다. INT(정수)/FP(부동소수점)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Int2006 쪽을 비교해 보면 마티스의 스코어가 피나클보다 25% 높습니다.
IPC로 환산하면, +17% 가량입니다. AMD가 공언했던 수치보다 높죠. 하지만 인텔보다는 1.8% 가량 밀립니다.
부동소수점 쪽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약 25% 정도 높습니다. 이 쪽에선 인텔보다 동클럭 기준으로 6.5% 높습니다.
이번엔 SPEC 2017버전입니다. 여기선 친절하게 동클럭 기준으로 표시했네요.
첫번째 Int에선 마티스가 커피레이크보다 5% 높고, 두 번째에선 7.8% 정도 높습니다. 마지막으론 7% 정도 높네요.
피나클 릿지를 기준으로 하면 16.8%, 13.1%, 15.4%로, SPEC2006에 비하면 증가폭이 적지만 아무튼 공식오피셜보단 높습니다.
하여튼 아난드텍 테스트를 기준으로 IPC를 평균해 보면 커피레이크 대비
4.9% 정도 앞서며, 피나클 릿지 대비로는 15.8% 정도 오른 셈입니다.
피나클 릿지 vs 마티스'만' 보면 16%라는 결론을 내린 컴퓨터베이스 측의 측정 결과랑 매우 비슷합니다.
-- --
주:검은동네에 먼저 올렸던 글을 그대로 복사해왔습니다.
'공부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 | AMD 라이젠 3000 인텔의 시대를 끝내러 왔다 (0) | 2019.07.10 |
---|---|
기가바이트 RTX 2070 super 네이버 쇼핑등록가 (0) | 2019.07.10 |
iOS 닥터마리오 한글판 실행가능 (0) | 2019.07.10 |
나고시 "용과같이의 Xbox 전개를 슬슬 생각해야 할 시기" (0) | 2019.07.10 |
[TechPowerUp] 라이젠 3900X 리뷰 *온도및 전력 위주 [ (0) | 201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