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꿀팁

피는 위기: 수입 공세 속 생존을 위한 한국 화훼농가의 사투

온유향 2024. 1. 12. 14:49
728x90
반응형

이 기사는 한국과 에콰도르의 전략적 경제협력협정(SECA) 체결 이후 무분별한 꽃 수입으로 위기에 직면한 국내 화훼농가의 고충을 다룹니다. 수입 꽃의 범람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들은 국내 화훼농가 보호를 위한 화훼산업진흥법 개정을 요구하며 생업의 존폐 위기에 처해있다고 항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양재꽃시장의 꽃값 상승에 따른 영향을 조명하고, 경기 침체와 학생 수 감소를 고객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피는 위기: 수입 공세 속 생존을 위한 한국 화훼농가의 사투
 

 
 
 
 
 
 
지난 11일 경남 김해시 대동면의 고즈넉한 들판에서 가슴 아픈 장면이 펼쳐졌습니다. 머리띠를 두른 부지런한 농부가 정성스럽게 가꾼 장미, 거베라, 국화 등을 마지못해 쟁기로 갈아엎었습니다. 활기차고 향기로운 꽃들이 버려지고 조각조각 잘려져 흙 속에 묻히자 좌절과 분노가 울려 퍼졌습니다.
 
부산경남화훼생산자협회를 비롯한 화훼단체 대표들이 모여 국내 화훼농가가 직면한 위기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오완석 부산경남생산자협회 공동회장은 "에콰도르와의 SECA 협정 이후 무분별한 화훼 수입은 화훼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완석 회장은 "카네이션 농가는 수입 과잉으로 사실상 폐업에 직면했고, 국화 농가는 전업을 고민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저가의 에콰도르산 장미가 시장에 범람하면서 국산 장미가 경쟁에서 밀리는 것도 심각한 문제다.
 
경기도장미연구회 정수영 회장은 에콰도르산 장미와 국산 장미의 가격 차이가 극명하게 대비되는 점을 강조하며 정부의 화훼 수입 정책을 비판했습니다. 시위가 격화되면서 농민들은 정부와 국회에 원산지 표시 의무화를 담은 화훼산업진흥법 개정안 통과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국내 최대 규모인 양재꽃시장은 경제적 타격을 고스란히 받고 있습니다. 평소 활기가 넘치던 시장은 한산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습니다. 3년 새 두 배로 오른 꽃값에 부담을 느낀 상인들은 고객 감소에 대한 우려를 표합니다. 경기 침체와 학생 인구 감소가 이러한 침체의 원인입니다.
 
졸업식 등 다가오는 행사를 앞두고 경기 회복을 간절히 바라는 상인들의 희망이 엿보입니다. 한국 화훼농가의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 협약과 지역 산업 보존 사이의 미묘한 균형을 반영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국내 화훼농가들이 시위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에콰도르와의 전략적 경제협력협정(SECA) 체결 이후 무분별한 화훼 수입이 급증하면서 생계가 위협받자 국내 화훼농가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농민들은 정부에 무엇을 요구하고 있을까요?
 
수입으로 인한 국내 화훼농가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원산지 표시 의무화 등 화훼산업진흥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로 인해 화훼 시장은 어떤 영향을 받고 있나요?
 
양재꽃시장은 지난 3년간 꽃값이 크게 오르면서 고객이 감소한 상황입니다. 상인들은 졸업식과 같은 행사가 다가올 때쯤에는 경기가 회복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한국화훼위기, #세컨드임팩트, #화훼산업, #수입꽃우려, #국내농가고통, #담비키퍼, #그린키퍼, #꿀벌마을이야기, #기후이야기, #환경이야기, #탄소이야기
 
https://xn--9n3b19m.kr/news/15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