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꿀팁

자연을 가꾸다: 한국 농업이 직면한 기후 변화 문제

온유향 2023. 12. 14. 12:52
728x90
반응형

자연을 가꾸다: 한국 농업이 직면한 기후 변화 문제

 

 

 

울창한 경관으로 농업의 풍요로움을 상징하던 한국의 한복판에서 소리 없는 위기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회복탄력성의 상징인 제주도의 농부들은 기후 변화와 기업의 관행이 생계에 타격을 주면서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지난 봄, 번개가 제주도의 농부들을 강타했습니다. 자연 현상처럼 보이는 기이한 현상이 메밀 농작물에 '갑작스러운 발아'를 일으켰고, 그 여파는 엄청난 피해를 남겼습니다. 이는 우박, 비, 서리와 함께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기상 패턴이 깨지면서 농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막대합니다. 농림부에 따르면 5월에만 9,628헥타르의 농경지가 기상 악화로 인해 피해를 입었습니다. 6월의 우박과 연이은 폭우로 36,000헥타르의 농경지가 물에 잠기고 969,000마리의 가축이 폐사했습니다.

 

그 피해는 농경지뿐만이 아닙니다. 8월까지 폭염으로 인해 온열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통계청의 '2022 농가경제조사'에 따르면 자연을 예측할 수 없게 되면서 농부들은 연간 작황을 예측할 수 없게 되었고, 이는 소득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재정적 영향도 상당합니다. 농작물 재해 보험 청구가 급증하여 2021년 보험금 지급액은 2015년 대비 약 133배 증가하여 23만 헥타르의 면적을 커버했습니다. 기후 위기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품질 저하로 인해 농작물 가격이 치솟았습니다. 2022년 8월, 국내산 사과의 가격은 전년 대비 56.8% 상승했습니다.

 

기후 위기와 그 영향이 가속화되면서 농민의 권리와 식량 주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엔은 가족농의 중추적 역할을 인식하고 2018년 '농민과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 선언'을 채택했습니다. 곡물 자급률이 약 20%에 불과한 한국은 국민의 식량 주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교회는 약 30년 전부터 유기농업을 옹호하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자연농업을 실천하는 가톨릭 농부들의 수는 900여 명으로 비교적 적지만, 그 영향력은 상당합니다. 이들은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땅을 되살릴 뿐만 아니라 토종 종자를 보존하여 종자 주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농화학 기업 몬산토를 비롯한 대형 종자 회사들이 시장을 장악하면서 토지를 황폐화시키는 다수확 품종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종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토종 품종을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가톨릭농민학교를 졸업한 김민정 씨는 이 문제의 시급성을 강조합니다. "우리 땅에 맞지 않고 땅을 오염시키는 개량종자를 줄이고 토종 종자를 보존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라고 그녀는 덧붙입니다.

 

농업의 미래가 달린 문제인 만큼 자연농법을 받아들이고 종자 주권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는 한국뿐 아니라 지구촌에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이는 희망과 회복력, 그리고 지구를 가꾸어야 할 공동의 책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한국농업, #기후변화, #식량주권, #유기농업, #종자지속가능성, #담비키퍼, #그린키퍼, #꿀벌마을이야기, #기후이야기, #환경이야기, #탄소이야기

 

https://xn--9n3b19m.kr/news/1147

728x90
반응형